별바라기 홈 >
도움말
별바라기 천문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천체관측 탐구
신명근
2024년 11월 3일
발표 주제: 체계적인 관측
- 관측 대상 이해: 은하, 성단, 성운
--> 우주에 대한 이해
- 체계적인 관측 및 별바라기 활용법
별바라기와 함께 우주 여행
- 눈부시도록 아름다운 은하수
- 인상파 과학·예술가가 그린 은하수
- 별바라기와 함께 우주 여행
- 은하좌표계, 은경, 은위 이해
- 사투르누스 성운, M13 찾아가기. 두 대상의 은위 비교
- NGC 대상의 분포 확인. 은하의 적도 부근에 많이 몰려 있다. 즉, 은하 원반 위에 위치한다
- 산개성단/성운: 은하 원반 위에 존재
- 은하좌표계 위도-은위를 보며 대상의 입체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우리 은하에서 구상성단의 분포
- 구상성단: 은하 원반을 둥글게 감싸는 모습으로 존재, 우리 은하에는 약 150개가 있음
퀴즈
불과 100년 전만해도 우리 은하가 우주의 전부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도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 많습니다 ^^
퀴즈
Deep Sky 체계적인 관측 방법
사진으로만 본 것을 내것으로 만들자~!
- 우주에 대한 기반 지식, 관측 대상 구분
- 산개 성단, 성운, 행성상 성운, 구상 성단, 은하의 기본 개념 이해
- 별바라기 우주여행, 위키피디아 등 활용
- 관측 대상 정하기
- 별자리 별 관측 대상 정리: 별바라기 홈페이지 > 별자리 성도 및 관측 대상
- 별바라기 메뉴 > 관측 >
멋진 NGC 100선,
도전 목록
- 메시에 목록, 콜드웰 목록
- 인터넷 검색/동호회
- David J. Eicher, 『The Universe From Your Backyard: A Guilde to Deep Sky Object from ASTRONOMY Magazine』,
1988
- 박승철 번역, 『작은 망원경으로 시작하는 성운성단 산택』,
??
- 성도를 보고 구체적인 관측 계획 수립: 별바라기 성도 활용 (아래 참조)
- 망원경으로 찾기 / 관측하기
-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측
- 고배율 관측은 반드시 한다. 비교할 수 없는 상세 모습이 보인다
- 암적응 상태에서 5분이상 대상을 관측하자. 사람이 많은 경우 1분만이라도 찬찬히 음미한다
- 기록을 남긴다
- 좀 더 집중해서 관측하게 된다
- 묘사, 스케치, 관측 장소의 분위기/사진, 관측 조건 등 무엇이든 좋다
- 관측 기록 예시:
밤하늘의 보석 스케치
- 관측 조건: 투명도, 밝기, 시상, 육안 한계 등급
- 가장 큰 장점: 대상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 최후의 승자가 된다^^
- 기록을 공유한다. 동아리, 인터넷 카페 등
Deepsky 관측 대상 성도 출력, 예, 페가수스 I 은하단을 찾아 보자.
- 별자리 확인용 광시야 성도. 예시: 페가수스
- 파인더용 성도: 7~7.5 등급까지 나오는 성도. 예시:
페가수스 I 은하단 관측 기록
- 지평좌표계로 날짜/시각을 맞춰 출력하면 보기 편하다.
- 메뉴 > 자료 > 별, NGC... > 별의 등급지정 체크, 7.3 등급으로 설정
- 파인더용 성도로 대상을 찾아가는 시뮬레이션을 해 본다
- 13등급 이상 표시되는
상세 성도
- 주경으로 보면서 관측대상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준다
- 어두운 대상의 경우 위치를 먼저 확인 후, 주변시로 찾아 본다
- 스케치 밑 그림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 별바라기는 약 14등급의 Guide Star Catalogue (GSC) 1,900만개의 별을 그려준다
- 퀴즈: GSC는 무엇을 가이드하기 위해 만들었을까요?
- 연관 퀴즈
- 메뉴 > 성도 > 인쇄/비트맵 저장 환경설정 ...
- '제목' 지정
- '기준 크기'를 크게 하면 별의 크기가 커진다
- '성도 크기'는 빨간색 선 영역을 클릭 & 드래그하여 조절할 수 있다
별바라기는?
별바라기 시작하기
태양계 대상의 궤적 확인
- 궤적 그리기
- 예제01: 성도 > 열기 > '예제_기본10_목성의궤적_순행_역행_적도좌표계.sky'
- 예제02: 성도 > 열기 > '700.아날렘마_2021년.sky'
- 궤적 다이로그에서 '고도/방위각 기준 좌표 계산'이 체크 되어 있는 것 확인
- 다이로그에서 이야기 주제: '22년 봄 행성들의 회합' 선택
- '재생' 버튼 클릭
- 홈페이지 > 재미있는 별바라기 > 태양계 > 태양의 무한궤도 아날렘마
- 예제02: 성도 > 열기 > '예제_이야기가흐르는밤01_.2022년 봄 행성들의 운동회.sky'
- 메뉴 > 도구모음 > 이야기가 흐르는 밤
- 다이로그에서 이야기 주제: '22년 봄 행성들의 회합' 선택
- '재생' 버튼 클릭
태양계 3차원 시뮬레이션
- 메뉴 > 도구모음 > 태양계 3차원 시뮬레이션
- 도구모음 > '혜성' 아이콘 > 쯔친산 혜성 선택
- 혜성의 궤도가 지구공전면 아래로 잠깐 내려갔다가 오는 것 확인
- 근일점 위치도 확인. 혜성의 절대 등급이 가장 밝을 때임
- 도구모음 > '혜성' 아이콘 > 헤일밥 혜성 선택
관측 장비의 시야 확인: 주로 사진 촬영에 활용
- 메뉴 > 도구모음 > 망원경/카메라 시야 확인
- '거리 측정자 보기'를 반드시 체크 상태로 할 것
- 예제: 아날렘마 촬영 화각은 위에서 설명
목성의 위성
- 메뉴 > 도구모음 > 목성의 위성
- 목성의 위성 도움말
- 2024년 10월 영현상 관측 기록
- 팁: 오른쪽 월별 성도에서 밤 시간대에 2개 이상의 위성이 겹쳐서 지나는 시간대를 찾 --> 황홀한 영현상를 경험할 수 있다.
- 팁: 시뮬레이션 간격은 소수 단위도 가능함. 예를 들면, '0.5' 시간 입력 가능
- 2025년 1월 6일 저녁 관측: 3개 위성의 경/영 현상
토성의 위성
- 메뉴 > 도구모음 > 토성의 위성
- 토성의 위성 도움말
- 소구경 망원경으로는 3~4개의 위성만 볼 수 있다
- 2025년 테의 모양이 없어지는 것 확인. 시뮬레이션 간격을 100 시간으로 설정 후 '앞으로' 버튼 클릭
일식/월식
달 관측
별바라기 홈페이지
별바라기 홈 >
최종 변경: 2020년 05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