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바라기 홈 > 재미있는 별바라기 >

인상파 과학·예술가가 그린 은하수

전체 물리학자이자 그래픽 아티스트인 Robert Hurt는 2008년 Caltech Spitzer Science Center에서 일하며,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아름다운 우리 은하의 모습을 만들었다.
은하 중심에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있고, 그 주위로 빽빽한 별의 군집인 막대 모양의 팽대부가 있다. 막대 위쪽에서는 굵직한 페르세우스 팔과 상대적으로 갸날픈 궁수 팔이 뻗어 나간다. 두 나선팔은 은하 중심부를 반 바퀴 휘감은 지점에서 백조-오리온 팔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며, 백조-오리온 팔의 중간 부근에 지구가 위치한다.

M. Kornmesser/Robert Hurt는 아래 그림과 같이 은하측면도도 만들었다. 땅콩 모양의 매우 밝은 팽대부가 인상적이며, “우리 은하 초기에는 별이 고르게 펼쳐진 원반이었지만, 수십억 년 전 은하 중심부에 평평한 막대가 생겼고, 블랙홀의 중력에 의해 그 안쪽 부분이 조여지면서 마치 땅콩처럼 보이는 구조가 됐다”고 한다.

별바라기를 이용해서 이 아름다운 창작물을 좀 더 발전시켜 보자. 아래 그림은 지구 주변의 성운/성단 및 은하수에 위치한 별자리를 보여준다.

지구에서 보이는 은하의 모습

지금까지 살펴본 은하의 모습은 모두 상상도이다. 이제 지구에서 은하가 어떻게 보이는지 살펴보자. 아래 사진은 우리나라에서 보이는 은하수의 일부이다. 위에서 샬펴 본 나선팔과 별자리 배치를 함께 살펴 보면 재미있다.

청옥산의 은하수
2024년 5월 4일 2시 29~38분, 은하수 고도: 50도

우리 은하의 평면도 전체 그림

우리 은하의 평면도 (해상도: 1716 X 1692)

별바라기 우주여행 설명서

도움말 > 우주 여행 참조

Image Credit / 참고문헌

보완할 것


별바라기 홈 > 재미있는 별바라기
 최종 변경: 2024년 04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