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은하 주변에는 안드로메다 은하만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은하 바로 아래에는 마젤란은하가 있고,
멀리는 지름 6만 광년의 삼각형자리 은하(M33)가 있으며,
안드로메다 은하 옆에는 M32, M110 은하가 있고, 그 외 작은 왜소 은하가 40개 이상 존재한다.
이들을 국부은하군(Local Group of Galaxies)이라고 한다.
은하들이 모여 사는 작은 마을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위 그림은 적도좌표계 기준의 3차원 국부은하군 모습이다.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가 양 끝에서 중심을 잡고 있고, 작은 왜소 은하들이 큰 은하 주변을 맴돌고 있다.
왜소 은하들은 큰 은하의 중력권에서 공전을 하거나 큰 은하와 충돌해서 흡수 된다고 한다.
별바라기 활용
위의 3차원 지도를 기억하며, 별바라기에서 안드로메다 은하, 마젤란 은하를 찾아 보자.
[성도][열기 ...] 메뉴 선택 후, '샘플성도' 디렉토리를 찾아간다.
파일명 '041.국부은하군.sky'를 선택한다.
전체화면 모드를 해제하고, 옆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 형태를 만든다.
북위 40도에 위치한 안드로메다 은하와 그 아래에 있는 삼각형자리 은하를 확인한다.
남위 70도에 있는 대소 마젤란 은하도 찾아보자. 마젤란 은하를 확대하여 보면 마젤란 은하가 품고 있는 많은 산개 성단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보이기만 한다면 매우 재미 있는 관측 대상 중 하나일 것이다.
3차원 지도에 있는 NGC 147, 185, 6822도 별바라기에서 찾아보자.
1920년대 에드윈 허블은 NGC 6822까지의 거리가 약 70만 광년 (지금은 160만 광년으로 확인되었다)인 것을 계산하여,
NGC 6822는 우리 은하의 성운이 아니라 또 다른 은하라고 결정지었다. 192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 은하가 우주 전체이고 우주의 크기는 30만 광년이라고 생각하던 때였다.
기타 사항
한문에 익숙치 않은 필자에게 국부(局마을국部떼부)은하군이라는 단어가 참으로 어색하다.
국부은하군보다 더 좋은 용어가 있으면 추천 바란다. 우리 은하군? 우리 은하 마을?
3차원 국부은하군 지도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Local_Group_and_nearest_galaxies.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