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바라기 홈 > 재미있는 별바라기

천상열차분야지도 이해를 위한 사신, 음양오행, 유교 사상의 이해

이 글은 두 가지 질문에서 시작됐다.

  1. 예술적 완성도가 높은 고구려 고분의 사신도에 관심이 많았는데, 이 '사신'이 한양 도성에도, 천상열차분야지도 별자리 28수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세 곳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2. 사람들이 지상에서 도시를 이룬 것처럼 고천문도에도 하늘의 도시가 투영되어 있다는 점이 신기했다.
  3. '쉽고 재미있게 시작하는 동양의 고대 별자리' 참조.

예를 들어, 천문도의 하늘과 한양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하늘과 땅의 대칭성과 사신의 모습이 아름답지 않은가? 이런 모습을 상상했을 고대 천문관의 사상적/철학적 배경이 궁금했다.

결론을 먼저 이야기하면

이제부터 위에 열거한 사상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어쩌면 각각의 사상에 대한 지리한 나열이 될 수도 있지만, 이들이 통합 발전되는 과정은 매우 흥미롭다. 아래 도표는 본 글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동양의 고대 문명

동양 철학의 시조 복희

하도

남송 주희 『역학계몽』의 하도 태극 모양으로 계절의 시간적 변화 설명

태극·음양 개념의 중요성

태극 --> 양의 --> 사상 --> 팔괘

양의: 두 가지 에너지

사상: 네 가지 모습

팔괘

팔괘의 이름 (의미 포함 다시 그리자) 경복궁 근정전의 일월오봉도

하도와 팔괘

참고: 태극기의 유래

다섯 요소 및 오행

사신 문화의 흔적

먼저 사신에 대해 살펴 보자.

동물뼈점/갑골점

육십사괘 주역을 설명하기에 앞서 갑골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육십사괘 / 『역경』 / 주역

고대인의 '점'에 대한 통찰, 자연과 연결된 인간

21세기 우리는, 현대과학은

고대 동양 사상 요약

지금까지의 설명으로 고대 동양 철학의 기반은 모두 다져졌다.

이제부터 춘추전국, 진한 시대를 거치며, 음양오행 및 유가 철학이 통합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유가의 『역경』 흡수, 주역으로 발전

추연의 음양오행 통합 (BC 250년 경)

유가의 국교화

동중서: 유가의 음양오행 흡수

천인감응설과 천문

다시 한 번 결론

제언

글을 마치며

위 글을 정리하며 가장 크게 느낀 것은 공맹의 생각과 행동이 깊고 넓다는 것이다. 전쟁이 일상이던 시대의 날선 군주들에게 인륜을 지키라 말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을지 가늠하기 어렵다.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인의 시작이라고 하며,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악한 것을 미워하는 마음을 의의 시작이라고 하며,
남을 위해 배려하는 마음을 예의 시작이라고 하고,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을 지의 시작이라고 한다.

또 다른 한 생각은, 아래 문장이다.

모든 역사는 현대사다 (All history is contemporary history) [Benedetto Croce].
오늘 여기 있는 나를 빼놓고 역사를 바로 볼 수는 없다.
역사란 결국 나라는 실존에 의하여 해석되는 것이다.
나는 현대사의 산물이다. 그런데 우리는 놀라웁게도 현대사에 무지하다
[김용옥].

고대사에도 무지하다.

참고 문서

부록: 명리학

오류/수정 사항은 언제든 알려 주세요

이 글은 인터넷 검색/서적 등을 통하여 얻은 지식을 정리한 자료이다. 여러 자료를 통찰하고 현대의 과학 지식과 논리에 기반하여 개연성 또는 가능성 있는 발전 과정을 추측하며 작성했다. 잘 모르는 내용은 '?' 표시를 하였다. 본 문서에서 오류 또는 수정사항이 있으면 바로 알려주세요. starflower2020@protonmail.com


별바라기 홈 최초 작성: 2024년 10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