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동안의 은하수 촬영 경험을 요약한 것이며, 아래 내용을 따라하면 누구나 둥근 은하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초보자 대환영 ^^
소니 A7R 14mm F/4 30초 ISO 3200 7장의 세로 사진을 이어 붙임 (7X1) 2024-05-04 2시 29~38분, 은하수 고도: 50도 |
천문박명: 태양 고도 -18도일 때의 시각으로 태양빛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각임
일자 | 저녁박명 | 고도 20도 | 고도 50도 | 새벽박명 |
3월 1일 | 19:52 | 4:08 | 6:40 | 5:36 |
4월 1일 | 23:23 | 2:05 | 4:45 | 4:48 |
5월 1일 | 20:59 | 0:06 | 2:39 | 3:58 |
6월 1일 | 21:38 | 22:06 | 0:39 | 3:21 |
7월 1일 | 21:50 | 20:30 | 22:36 | 3:21 |
8월 1일 | 21:23 | 18:10 | 20:33 | 3:53 |
여러장의 사진을 합성해야 하므로 각 사진의 시차가 없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즉, 카메라 렌즈으 회전축이 시자가 없는 지점에 있어야 한다.
(영어로 No Parallex Point가 정확한 표현이고, 많은 곳에서 Nodal Point라고도 부름)
그러나, 은하수 사진에서 시차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왜냐하면, 어차피 피사체는 무한대에 있는 은하수 하나이다. 물론 지상의 배경이 신경쓰이긴 하지만...
참고로, 지난 11월 시차를 고려하지 않은 사진들의 합성에서 눈에 띄는 품질저하를 발견하지는 못했었다.
![]() |
![]() |
![]() |
가장 중요한 작업이며, 사전 연습이 반드시 필요하다. 출사 전 집에서, 야외 어두운 곳에서 3~4회 실습한다. 왕도가 없다. 실전처럼 반복 연습하자 ^^
모르는 사람에겐 가장 어려운 작업으로 느껴질 것이다. 그러나, 실상은 매우 쉽다.
개인적으로 둥근 은하수를 찍기에 은하수의 고도 50도가 가장 적당하다 생각한다. 둥근 모양도 잘 나오고, 파노라마 합성도 잘되고, 별자리 모양도 깨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개인 취향이며, 주변 배경을 고려하여 은하수 고도가 높은 상태에서 찍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별바라기 홈 > 관측 기록
및 장소 리뷰 >
최종 변경: 2024-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