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바라기 홈 >
별자리 성도
성도 비교: 별바라기 vs IAU
PC에서 보는 것이 편하다.
별바라기 성도는 국제천문연맹 (IAU)에서 작성한 성도와
유사하게 작성했다. 둘을 비교해 보자.
참고: 추가 작업할 것
- IAU 북쪽왕관: v 1, 2가 바뀌었다.
- IAU 목동: nu 첨자 1, 2가 바뀌었다.
- 공작: 아래쪽 적경 표시 글자 삭제
- 궁수: 남두육성 글자쓰기. chi 1 근처 [Deleted] 표시된 별 처리. 지워야 하나? 황도 글자를 좌우 구분해서 쓸 수 있게 하자.
- 극락조: 아래쪽 적경 표시 글자 삭제
- 날치: 용골 별자리 연결선 지우기
- 뱀: 머리 꼬리 한 파일로. 작업이 좀 귀찮다..., 타우 5~8 추가,
- 큰물뱀: 성도 작성 시 글자 크기 조정 필요: 별자리 이름 10 폰트, 바이어문자 9 폰트, 동서남북 9
- 큰곰: 북두칠성 글자 쓰기. M40 추가: 일단 산개성단 표시로 정함.
- 첨자 마이너스 값: 화면에 쓰는 로직 소스 정리 필요. 당장은 문제 안됨
- 별 첨자 처리: wcass.cpp 413
- 버그: .sky 파일 저장 후 다시 읽을 때, 글자 크기가 원복됨 --> 성도의 시야에 따라 크기를 지정하자. 별 크기도 보기 좋게 지정...
참고: 수작업 목록
- 컴퍼스 별자리 모양선 추가해야 함
- 소스에서 볼것: 궁수자리 베타2는 정보는 있는데, 화면에 표시 안됨. 2676-c1, 2656-b2
- 현미경: 별자리 모양선 수정. 위쪽이 접안부, 아래쪽 별이 많은 곳이 대상을 놓는 곳
- 전갈: 베타 2 첨자 지움
- 큰부리새: 베타 첨자 지움
- 별자리 모양선, 황도, 은하의 적도를 더 굵게 하여 성도 다시 작성
- 아르고: 별 크기 계수: 0.0011 (완료)
- 거문고: 제타 첨자 지움
- 격자: 제타 2 첨자 지움
- 고래: 별 바이어 파이 3, 4 xi 1, 2
- 공작: mu 1, 2 첨자
- 남십자가: 별 바이어 알파 첨자 지움
- 마차부: 별 바이어 y의 첨자들
- 백조: 별 바이어 파이 첨자 1, 2, 파이 1 좌측으로 이동
- 북쪽왕관: 제타 첨자 지우기, v 1, 2 쓰기, IAU: v 1, 2가 바뀌었다.
- 비둘기: 별 바이어 v 1, 2
- 사냥개: 화면에서 알파 옆에 사선은 무엇인지 모르겠다. 나중에 소스 확인. 아마도 불필요한 문자가 있는 듯.
- 시계: 감마 추가
- 센타우루스: 알파 1 지우기, IAU의 모양선이 더 이해하기 쉽다.
- 에리다누스: 타우 3~9, roh 3, 세타 첨자 지우기
- 오리온: 파이 1~6, 세타 1 지우기
- 용골: 에타별 지시선
- 인디언: k 추가
- 직각자: z 추가
- 천칭: 제타 1, 2, 알파 첨자 지움
- 큰개: 별 바이어 v, 제타 첨자들
- 팔분의: 감마, 파이, 유? 첨자
- 헤르쿨레스: 알파 첨자 지움
- 황새치: 파이 첨자 1, 2
- 황소: 세타, 로 첨자 지우고, 델타 2, 3 추가
별바라기 홈 최초 작성: 2024년 11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