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바라기 홈 >
별자리 성도
한글 별자리 이름 정하기
이 글은 별바라기에서 별자리 이름을 어떻게 표시할지 고민한 것이다.
가능하면 국어사전에 등재된 단어를 사용하고자 했으나 오래 전 아마도 80~100년(?) 전에 정해진 단어들이라
아쉬움이 느껴지는 것이 몇 개 있다.
또한, 별자리 모양/역사와 어울리지 않는 것도 있다.
가장 적절한 명칭을 찾기 위해 여러 문서를 살펴 보았다.
다만, 모든 자료를 상세히 살펴 본 것은 아니며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더 좋은 의견이 있으면 언제든 알려 주세요~
백조/고니
고니는 백조의 순우리말이며, '곤곤곤'하고 운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백조는 '흰 새'란 뜻인데 고니 이외에도 흰 새가 많기때문에 살짝 아쉬운 작명이다.
아쉬운 작명을 그대로 별자리에 사용하려니 아쉬움이 더 커진다.
순우리말을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백조란 말이 널이 통용되어 쓰이기에 백조/고니를 병기하기로 했다.
궁극적으로 고니로 바꾸는 것이 나아 보인다.
- 표준국어대사전에 동일한 단어로 설명되어 있다.
- 고니: '곤~곤~곤~'하고 운다고 지어진 순우리말 이름이다.
- 백조가 널리 통용되고 순우리말인 고니도 중요하다 생각하여 백조/고니 표기로 결정했다. 궁극적으로 고니로 바꾸는 것이 나아 보인다.
고대 그리스 신화 관련 별자리의 한글 이름 찾기
- 결론: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연) 표기 및 IAU 별자리 문서의 발음을 참조하여 정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많은 고민을 통해 이름을 정했음을 알 수 있었다.
- 아래 표에서 발음은 [ ] 사이에
영어 발음 재표기
또는 한글로 적었다.
- 라틴어, 그리스어 발음은 구글 번역에서 읽어 주는 것을 듣고 적기도 했다.
- 별바라기에서 채택한 명칭은 진하게 표시했다.
- 표준국어대산, 위키피디아의 '~자리' 접미사는 제외했다.
IAU 표준 | 라틴어 | 그리스어 |
천문연 | 국립국어원* | 위키피디아 |
Cepheus [SEE-fyoos] [시피우스] | Cepheus [세피오스] | Κεφέας [Keféas] [키페아스] |
세페우스 | 케페우스 | 세페우스 |
Centaurus [sen-TOR-us] [센토러스] | Centaurus [센따우루스] | κένταυρος [kéntavros] [켄타브로스] |
센타우르스 | 켄타우루스 | 센타우루스 |
Cassiopea [CASS-ee-uh-PEE-uh] [카시우피우] | Cassiopea [까시오피아] | κασσιόπης [kassiópis] 카시오피스 |
카시오페이아 | 카시오페이아 | 카시오페이아 |
Hydra
| Hydra female water snake | έδρα [édra]
|
큰물뱀 | 바다뱀 | 바다뱀 |
Hydrus
| Hydra male water snake | έδρα [édra]
|
물뱀 | 물뱀 | 물뱀 |
Hercules [HER-kyuh-leez] [헤르큘리즈?] | hercules [헤르쿨레스] | Ηρακλής [Iraklís] [이라클리스] |
헤르쿨레스 | 헤르쿨레스 (로마신화) | 허큘리스 |
* 국립국어원 별자리 이름은 '~자리' 접미사가 있다. 위 표에서는 이것을 생략했다.
로마 신화 헤르쿨레스 vs 그리스 신화 헤라클레스
영어 사전은 '로마 Herculus'에 대해서, 국어사전은 '그리스 헤라클레스'에 대해 더 많은 설명을 한다.
| 영어사전 | 국어사전 |
Hercules |
[həːkjʊliːz] a hero of superhuman strength ... (정상적인 설명) |
헤르쿨레스: 『문학』 로마 신화에 나오는 최대의 영웅. |
Heracles |
[hɛrəkliːz] Greek form of Hercules (참조 표시) |
헤라클레스: 『문학』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최대의 영웅. ... (보다 많은 설명) |
프랑스 천문학자 라카유 제안 14개 남반구 별자리
- 라카유 (Nicolas-Louis de Lacaille, 1713~1762)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 타운 (Cape town) 근처에서 밤하늘을 관측했다.
- 1756년 라카유는 '남반구 평면 성도'에서 남반구 별자리를 프랑스어로 정리했다. [참고 2]
- 1763년 별자리 이름을 라틴어로 바꾸어 다시 출판한다. [참고 3]
- 1844 John Herschel, 1945 Francis Baily에 의해 별자리 이름이 축약되었다.
- 1922년 IAU에서 88개 별자리를 정의할 때, 축약된 별자리 이름이 사용되었다.
- 라카유 제안 14개 별자리: 공기펌즈 Antlia, 조각칼 Caelum, 컴퍼스 Circinus, 화로 Fornax, 시계 Horologium, 테이블산 Mensa,
현미경 Microscopium, 직각자 Norma,
팔분의 Octans, 화가 Pictor, 나침반 Pyxis, 그물/가늠자/가늠선 Reticulum, 조각가 Sculptor, 망원경 Telescopium
- 라카유는 마젤란 구름이 때때로 케이프 구름 (Cape Cloud)으로 불린다는 것을 기억했고,
남동쪽에서 폭풍우가 불어올 때 테이블 마운틴이 종종 구름에 덮인다는 것을 떠올렸다. 그래서 그는 마젤란 구름 (Large Magellanic Cloud)
아래 "테이블산" 별자리를 만들었다.
1756 프랑스어 |
의미 |
1763 라틴어화 |
IAU 표준 |
천문연 | 국립국어원* | 위키피디아 |
Les Burins |
조각가의 끌 Engraver's Chisel |
Caelum Sculptorium
| Caelum |
조각칼 (구)조각구 | 조각구/조각도 | 조각칼 |
L'Atelier du Sculpteur |
조각가의 작업실 the sculptor's studio |
Apparatus Sculptoris 조각가의 장비 |
Sculptor |
조각가 (구)조각실 | 조각실 | 조각가 |
le Chevalet et la Palette (the easel and palette) |
화가의 이젤 painter's easel |
Equuleus Pictoris
|
Pictor |
화가 (구)이젤 | 화가 | 화가 |
Montagne de la Table |
(남아공) 테이블산 table mountain |
Mons Mensae |
Mensa [MEN-suh] |
멘사 (구)테이블 | 테이블산 | 테이블산 |
le Réticule Rhomboide |
마름모 모양 작은 그물 |
Reticulus |
Reticulum [rih-TICK-yuh-lum] |
그물 | 그물/소강/소망 | 그물 |
그물눈으로 결정. 아래 설명 참조. |
* 국립국어원 별자리 이름은 '~자리' 접미사가 있다. 위 표에서는 이것을 생략했다.
별자리 Reticulm 한글 이름 정하기
아래 그림 첫 번째는 라카유가 사용하던 망원경의 '가늠선 reticle'이다 [참고 3].
라카유는 두 번째 그림과 같은 별 모양을 보고,
프랑스어 'le Réticule Rhomboide 마름모 모양 가늠선'이라는 별자리를 만들었다.
세 번째 그림은 1756년 그가 출판한 책 내용의 일부이다 [참고 2].
1763년 라틴어로 번역된 출판물에서는 'Reticulus'으로 표기했고 [참고 3], 이는 IAU 별자리 'Reticulum'으로 이어졌다.
|
|
|
|
망원경의 가늠선 |
별자리 모습 |
1756년 출판물 |
1763년 출판물 |
별자리 Reticulum의 어원에 대해 좀 더 살펴 보자.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그물자리, 소망자리, 소강자리로 정의한다. 한자 망, 강은 그물을 뜻한다.
- 라틴어 Reticulum: 작은 그물
- 라틴어 Reticulus: Reticulum 보다 더 작은 그물 (?)
- 영문 위키 reticle:
망원경, 현미경 같은 광학 장치의 접안렌즈에 내장된 십자선, 눈금, 또는 특정 도형 모양의 미세한 선의 모임으로,
크기 또는 거리 측정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중략)
별자리 reticulum은 reticle 및 reticle의 천문학에 대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의역 편집함)
-
콜린스 영어 사전 reticle :
a network of fine lines, wires, etc, placed in the focal plane of an optical instrument
to assist measurement of the size or position of objects under observation.
어원, C17: from Latin rēticulum a little net, from rēte net
지금까지의 내용을 종합하면, 별자리 Reticulum은 '작은 그물'이 아니라 'reticle'을 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 reticle의 한글 번역도 살펴보자.
- 십자선: crosshair의 번역이지만, reticle의 번역으로도 쓰인다. 예전의 reticle은 대부분 십자 모양이었다.
널리 사용되는 용어이고 모두가 쉽게 알아 듣는다. 다만, reticle은 십자 모양만 있는 것은 아니기에 적절치 않다.
최근 기술 발전과 함께 더 복잡한 모습의 reticle이 등장한다.
- 망선: 영어 사전의 설명 'a network of fine lines'를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군대 등에서 종종 사용되는 용어이다. 한자: 그물망.
- 가늠선: UAAA 한종현이 제안한 용어이다. reticle의 번역으로 가장 적절해 보인다.
참고로, 가늠자/가늠쇠: (군사) 총을 목표물에 조준할 때 이용하는 장치. 개머리판 쪽 총신 위에 있는 것을 가늠자,
총구 위쪽에 붙어 있는 것을 가늠쇠라 한다.
최종 '그물눈'으로 결정했다.
- 국어사전에 등재된 단어이며, 별자리 모양과 잘 어울린다.
- 라틴어 Reticulum, 즉 그물의 뜻과 통한다.
- 라카유의 의도인 reticle의 의미도 일부 가지고 있다. 예, 레이다 그물눈.
우리말샘 참조.
- 감각적이고 예쁜 한글 이름이다.
별 이름 Procyon: 프로키온 vs 프로시온
프로키온 유지. 이미 널리 알려졌고, 그리스어 발음이다.
IAU 표준 | 라틴어 | 그리스어 |
천문연 | 국립어학원 | 위키피디아 |
Procyon [proʊsi.ɒn] [프로시온] | Procyon [프로시온] | προκύων [프로키온] |
??? | 프로키온 | 프로키온 |
복잡한 발음 문제
- 발음 문제는 매우 복잡하다. 최대한 고민하고 가장 적절한 것으로 정하고 싶다.
- 별자리 신화는 고대 그리스 문화에서 시작하여, 강대국 로마에 전파되어 라틴어로 번역되었다.
- 그리고, 지금의 서구 문화는 라틴어를 근간으로 한다. 그리스어 발음은 중요시하지 않는것 같다.
- 더욱이, 라틴어는 여러 서구 문화에서 각각 다르게 발음되며 2000년의 시간을 보냈다.
또한 근대 영어는 라틴어 철자를 그대로 사용하며 새로운 영어 발음을 하나 더 만들었다.
예1: Julius Caesar =
YOO-lee-us KYE-sahr (reconstructed ancient Roman)
YOO-lee-us (T)SAY-sahr (northern Continental Europe)
YOO-lee-us CHAY-sahr (“Church Latin” in Italy)
JOO-lee-us SEE-zer (“English method”) [참고 4]
율리우스 카이사르 (국립국어원)
예2: 영어 Plato [플레이토]
그리스어 Πλάτων [플라톤]
표준? 라틴어 Plato [플라토] [참고 5]
-
우리나라의 라틴어 한글 표기는
IAU의 모범 발음과 다르다.
제일 크게 걸리는 점은 'C'를 무조건 'ㅋ'으로 발음한다는 것이다.
한글을 라틴어로 옮길 때 도움은 되지만, IAU 모범 발음에서 's'으로 발음하는 경우와 차이가 발생한다.
- 결국, 한글 별자리 이름은
한국천문연구원의 역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위키피디아/나무위키 등의 문서에서 각각 다르게 표기된다.
- 참고로, 프랑스어 'Lacaille'의 발음이 라카유인 것도 잘 모르겠다.
외래어 표기법에 명시되어 있기는 한데, 어떤 이유로 ~ille 접미사를 '유'로 정했을까?
인터넷 사전 발음을 들어 보면, '라카이' 또는 '라카이어'에 가깝다.
참고로, 유사한 Marseille는 분명 '마르세유'로 들린다.
별바라기의 고민: 발음/표기
- 별자리 이름 관련 한국천문연구원의 표기를 많이 수용했다. 왜냐하면,
- 한국천문연구원이 가장 많은 고민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까지도 별자리 표기에 대해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예, 큰물뱀, 조각칼.
- 국립국어원도 과거에 많은 고민이 있었겠지만, 과거의 결정을 그대로 가져가기엔 아쉬움이 많다.
그리고, 별자리 이름은 고유명사이고 천문가들이 정하는 것이 더 맞아 보인다.
- IAU 별자리명 모범 발음을 존중하고 싶다.
- 그리스 신화 관련 별자리는 그리스어 발음을 따르는 것이 맞을 수도 있다. 그런데, 어설프게 따라가면 또 다른 혼란을 야기한다.
차라리 모든 발음을 다 그리스어에 맞춘다면, 이것은 한 번 더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별바라기의 고민: '~자리' 접미사
- 국어사전은 접미사 '~자리'가 포함되어 정의되었는데, 불편할 때가 많고 또 지켜지지도 않는다.
- 예를 들면, 대부분의 한글 성도에서 '자리' 접미사는 모두 떼어져 있고, '안드로메다 은하' 역시 '자리'가 떼어져 있다.
반면, '처녀 은하단'의 경우는 '처녀자리 은하단'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 별바라기 성도에서는 별자리 이름에서 '자리' 접미사를 제외했다.
- 또한, 별자리 내부의 특정 천체를 가리킬 때도 '자리'를 제외했다.
예, 안드로메다 은하, 처녀 은하단.
- 다만, 별바라기 홈페이지 문서에서는 문맥상 또는 일반인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경우에는 '자리' 접미사를 사용한다.
예, '안드로메다자리에는 ...' 또는 '안드로메다 별자리에는 ...'
참고문헌
- Proceedings of the 1st General Assembly, Rome, Italy, May 2 - 10, 1922.
참고로, 이곳에는
'아르고' 별자리도 포함되어 있다.
즉, 총 89개의 별자리 이름을 인정했다.
- Nicolas-Louis de Lacaille, 『Création d'un planisphère austral contenant les constellations
entre le pôle sud et le tropique du capricorne 남극과 염소자리 사이의 별자리를 포함하는 남반구 평면지도 제작』,
1756.
- Nicolas-Louis de Lacaille, 『Coelum Australe stelliferum 별이 빛나는 남쪽 하늘』, 1763.
- “Latin Pronunciation Demystified “
-
라틴어의 한글 표기
|
|
라카유, 1756 (프랑스어) |
라카유, 1763 (라틴어) |
별바라기 홈 최초 작성: 2024년 11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