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바라기 홈 >
별자리 >
용
8월 몽골 기준의 지평좌표계 용 자리 Deepsky 대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7월 기준 새벽 1시의 하늘과 비슷하다.
대부분이 은하이다. 맑은 하늘과 대구경 조건이 모두 맞아야 관측 가능하다.
관측 대상
NGC 등급 크기(분) 거리(광년)
3147 10.6 3.9 x 3.5 130,788,556
3735 11.8 4.2 x 0.8 125,896,216
4125 9.7 5.8 x 3.2 65,557,356
4236 9.6 21.9 x 7.2 13,633,320
4256 11.9 4.5 x 0.8 118,068,472
4319 11.9 2.8 x 2.3 66,861,980
5866 9.9 6.4 x 2.9 36,529,472
5905 11.7 4.0 x 2.6 158,185,660
5907 10.3 12.6 x 1.4 36,529,472
5908 11.8 3.2 x 1.2 154,271,788
5981 13.0 2.8 x 0.5 86,105,184
5982 11.1 2.6 x 1.9 142,204,016
5985 11.1 5.5 x 3.0 119,699,252
6015 11.1 5.4 x 2.1 44,683,372
6503 10.2 7.1 x 2.4 18,003,811
6643 11.1 3.8 x 1.9 75,015,880
- NGC 3147 망치, hammerer, Malleator Dracónis.
이 이름은 이 은하의 서쪽에 있는 특이한 망치 모양의 특징을 나타낸다.(설명 CMG)
10.6 등급, 3.9' X 3.5', 거리 1.3억 광년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사진의 4시 방향으로 망치 모양이 보인다.
- NGC 5905/5908
NGC 5905: 마음이 안정된, even-tempered, Aequánimus Dracónis.
이 은하는 잘 정리된 내부 구조와 혼란스러운 외부 구조를 보여줍니다.
이런 특징은 마음의 내부 상태 표현하는 라틴어 Aequánimus, Aequ (equal) + animus (soul)로 표현된다. (설명: CMG)
막대 나선은하이며, 12.3 등급, 4.2' X 3.3' (보일까??)
NGC 5908: UFO, Ovi Draconis,
이 이상한 물체는 의심할 여지 없이 UFO다.
바티칸 라틴어 학자들의 res inexplicata volans 로 번역하지만,
이것보다는 라틴 위키피디아 Vicipaedia의 obiectum volans ignotum 번역이 더 좋다.
왜냐하면, 약어 riv보다는 ovi가 더 우아하기 때문이다.
NGC936 (CMG93)도 참고하라.
(설명 CMG)
(측면) 나선은하, 11.9 등급, 3.2' X 1.3'.
M102에서 동쪽으로 2도 거리에 있다.
8~10인치 망원경으로 (??? 책 다시 보자) 12.5' 떨어진 두 개의 희미하고 길쭉한 조각구름처럼 보인다. (설명 backyard)
스케치 참조: graphitegalaxy.com
사진 참고: astrophoton.com
- NGC 3735 칼 (단검), knife, Cúlter Dracónis.
한쪽이 뾰족하고 다른 한쪽은 뭉툭한 측면 은하의 모습은 칼과 매우 닮아 있다. (설명 CMG)
11.8 등급, 4.2' X 0.8', 거리 1.2억 광년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 NGC 4125 황금도시, golden city, Chrysopolis Draconis.
이 빛나는 은하는 아름다운 곳과 매혹적인 장소와의 연관성을 불러 일으킨다. 그 이름은 일반적인 그리스어 단어 (χρυσπολις, chrusopolis)이다. (설명 CMG)
타원은하, 9.7 등급, 5.8' X 3.2', 거리 7700만광년. 보일듯 한데, 고도가 낮을 듯...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 NGC 4236 정지 상태 (은하), stationary, Stasimus Draconis.
이 은하의 적색편이는 0(측정 정확도 이내)이며, 이는 이 은하가 태양계에 대해 정지된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름은 일반적인 그리스어 단어이다
(στσιμος, 스타시모스). 또한 NGC 2976(CMG286)을 참조하시오. (설명 CMG)
M81 은하군, 9.7등급, 18.6' x 6.9', 막대 나선은하이며, 작은 망원경에서도 인상적인 은하이고,
큰 망원경에서는 나선팔의 얼룩덜룩한 세부 모습이 살짝 보인다. (정말 보일까?)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 NGC 4256 검 (긴 칼), sword, Gládius Dracónis.
NGC 4256은 용자리에 있는 얇은 측면 은하이다.
용과 함께 있는 길고 날카로운 물체는 검을 떠올리게 하므로 검으로 이름지어졌다. (설명 CMG)
11.9 등급, 4.5' X 0.8', 1.3억 광년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 NGC 4319 광대한 곡선, with ample curves, Colpódes Dracónis.
두 개의 활짝 열린 나선팔을 따서 이름 지어졌으며,
남쪽 팔은 Markarian 205 은하(퀘이사)를 껴안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참고로, 시선방향으로 겹쳐 보일 뿐 두 은하의 관계성은 없다.
(보충설명, 두 은하는 실제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 NGC 4319는 8천만 광년 거리이고 Mrk 205는 14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Mrk205 (CMG994)를 참조하시오. 이 이름은 생물학 명명법에서도 사용되는 일반적인 그리스 단어 (κολπ(δης, kolpòdès)이다. (설명 CMG)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6시 방향 은하 내부에서 밝게 빛나는 것이 Mrk 205이다.
- 5866 M102(?) 일직선으로, with a straight line, Lineata Draconis.
M102는 아름다운 렌즈형 은하로 눈에 띄게 날카롭고 어두운 암흑대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이 이름이 지어졌다. NGC 3115 (CMG308)도 참조하시오. (설명 CMG)
10.0 등급, 5.2' X 2.4', 멋진 렌즈형 은하의 하나로 쌍안경으로 얇은 받침접시 모양의 구름조각을 볼 수 있고,
6인치 망원경으로는 밝고 둥근 팽대부와 녹색의 긴타원 모양의 은하 측면을 볼 수 있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 NGC 5879
11.5등급, 4.4' X 1.7', 5907에서 북동쪽으로 1도 떨어져 있다.
은하의 핵은 밝은 점으로 보이고, 나선팔은 주변을 둘러싼 희미한 안개처럼 보인다.
(설명 backyard)
- NGC 5907 에워싸인, Enveloped, Circumfúsus Dracónis.
노출 시간이 긴 사진에서 이 은하를 둘러싸고 있는 커다란 호 모양의 구조물들을 볼 수 있다.
이들은 아마도 한때 NGC 5907 주위를 돌았지만 지금쯤 사실상 사라진 왜소 위성 은하의 잔해일 것이다.
(아마도 NGC 5907과 합병되었을 것이다.) (설명 CMG)
측면은하 중 머리털 자리의 NGC 4565 다음으로 큰 아름다운 은하이다.
Sb형의 나선형으로, 우리의 시선에 거의 정확히 측면으로 기울어져 있다.
10.4 등급, 12.3' X 1.8', 큰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쉽게 볼 수 있다.
12" 망원경에서 회색 빛의 밝은 줄무늬와 2' 길이의 중앙 팽대부를 볼 수 있고, 암흑대가 은하를 두 개로 가르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cosmotography.com
- 운명의 세 여신,
사진 참고: 한국천문연구원
- NGC 5981 돌이킬 수 없는 여자, she who cannot be turned, Atropos
아름다운 용자리 세 은하는 세 운명의 여신(그리스 모이라이)를 연상시킨다.
측면 은하 NGC 5981은 세 은하 중 가장 서쪽에 있으며, 인간 생명의 실타레를 가위로 가차 없이 자른다고 하는
Atropos(돌이킬 수 없는 여자)에 잘 어울린다. (보충 설명: 측면 은하의 모습이 실타레를 자르는 가위를 연상 시킨다)
데 보쿨러스는 이 은하의 형태학적 유형에 대해 수치 코드 4.3을 할당하여,
우리의 성별 규칙에 따라 사실상 남성적인 특성을 부여했지만,
이 측면 은하의 형태에 대해서는 실제로 잘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따라서 이는 그리스의 운명의 여신들을 연상시키는 세 은하의 일원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여성적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보충 설명: 데 보쿨러스는 타원은하는 음수로, 나선은하는 양수로 표시하고, 나선이 발달할수록 큰 숫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타원은하는 여성으로 나선이 발달할수록 남성성이 있다고 보는 듯 하다.
이 은하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니 그냥 타원은하(여신)로 우기자는 것 같다.)
- 5982 운명 할당자, measurer, Lachesis Draconis.
타원은하 NGC 5982는 세 운명의 여신 (Moirai) 중 가운데에 있는 은하이다.
Lachesis는 생명의 길이를 할당하는 할당자이다. (NGC 5981 참조)
- 6015 청소기, sweeper, Scoparius Draconis.
이 은하는 팔이 너무 많아서 청소기와의 비교가 적절해 보인다.
또한 은하의 동쪽 끝에 있는 많은 희미한 빨간색 별들을
청소되고 있는 별 부스러기 조각들로 해석할 수도 있다. (설명 CMG)
사진 참고: Sky & Telescope
- 6503 외로운 떠돌이, wandering alone, Solivagus Draconis.
국부공동부라는 텅빈 공간의 한쪽 끝에 자리 잡은 이 은하에 적합한 이름이다.
이미 O'Meara에 의해 '우주에서 길을 잃은 은하'로 명명되었다. (설명 CMG)
1800만 광년. 매우 가깝다. 안드로메다 은하 거리의 7~8배 거리이다.
스테판 제임스 오미라(Stephen James O'Meara)는
2007년 《Deep-Sky Companions: Hidden Treasures》에서, 이 은하가 홀로 떨어져 있다는 점에 착안해서
'우주에서 길을 잃은 은하 (Lost-In-Space galaxy)'로 칭했다.
설명/사진 참고: esahubble.org
사진 참고: Sky & Telescope
- 6643 가냘픈 몸,with a thin body, Leptosómus Dracónis.
작은 핵과 얇은 나선팔을 가진 이 은하의 관상학은 가냘픈 몸(leptosomatic)이라고 불리기에 충분하다.
이 이름은 일반적인 그리스어 단어(λεπτσωµος, leptosòmos)로 생물학적 명명법에서도 발견된다.
(보충설명 사진을 보면 가는 나선팔이 여러개 보인다) (설명 CMG)
11.1 등급, 3.9' x 2.1', 6" 망원경에서 선명하지 않은 둥근 빛의 조각처럼 보인다. (backyard)
사진 참고: in-the-sky.org
용 자리는 아니지만, 함께 볼 것
큰곰
- 바람개비 은하 M101: 칸트, Kantius Ursae Majoris,
큰곰 자리에서 가장 크고 장관을 이루는 이 은하의 이름은 임마누엘 칸트 (1724년-1804년)에 바치는 헌사이다.
칸트는 하늘에 있는 희미한 타원형 성운이 우리 은하 외부의 먼 항성계라고 가정한 최초의 철학자 겸 우주론자이다.
칸트는 이 가설을 《일반 자연사와 천체이론》 제1부 (1755년)에서 공식화했다.
밤 하늘의 별을 찬양한 위대한 철학자 칸트와 M101과는 또 다른 특별한 연결고리도 있다.
이 은하의 적위가 칸트가 일생 동안 살았던 마을인 쾨닝스베르크 (오늘날 Kaliningrad)의 지리적 위도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칸티우스 은하는 철학자 칸트가 거주했던 마을의 천정을 하루에 한번씩 지나간다. (설명 CMG)
(보충 설명: 20세기초까지 많은 사람들은 우리 은하가 전체 우주라고 생각했으며,
타원형 성운은 우리 은하 내부에서 별이 만들어지는 모습이라고 생각했다.
우주 이해의 역사 참조 )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 **몽골 관측 대상 아님. CMG 설명 비교용 **NGC 2976: 움직일 수 없는 (은하),
이 은하의 적색편이는 거의 0이며, 이는 태양 기준 상대 속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NGC 2976은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MG471 용자리 스타시무스, 즉 정지 상태로 명명된 NGC 4236은 훨씬 더 작은 적색편이를 가지고 있다.)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사냥개
- 소용돌이 은하 M51: 태풍, Týphon Cánum Venaticórum,
이 장엄한 은하의 인기 있는 이름은 소용돌이(Whirlpool) 은하이다.
Whirlpool의 라틴어 번역으로 여러가지가 가능하지만,
우리는 아시아의 거대한 회오리 바람인 태풍(Typhon)을 선택했다.
그리스 신화에서, Typhon은 신들의 제왕 제우스를 대신할 만큼 야심만만한 모든 바람의 신이었다.
신화학자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모든 창조물 중에서 태풍이 가장 크고 가장 인상적이었다고 한다. (설명 CMG)
관측 대상 설명 참고 자료
- CMG: A Catalogue of One Thousand Galaxies. 약어 'M'은 로마숫자에서 '천'을 가리킨다.
천 개 은하에 대해 시각적 특징 또는 역사적 의미 등을 고려하여 라틴어 이름을 붙인 목록이다. 2010년 만들어짐.
- Backyard: The Universe from your Backyard
별바라기 홈 > 별자리 >
최종 변경: 2024-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