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반구 은하수에서 백조(Cygnus)는 볼거리가 가장 풍부한 별자리이다.
밝고 젊은 산개성단, 암흑 성운의 흔적, 희미하고 미묘한 방출 성운 및 반사 성운, 많은 행성상 성운,
그리고 몇 개의 이중성 및 변광성을 포함하고 있다.
관측 대상
M-39(NGC-7092):
백조자리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는 큰 산개성단인 M-39이다.
이 그룹은 적어도 28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밝은 별은 7등급으로 빛난다.
이 성단의 지름은 약 반달 크기로, 합계 등급 4.6이다.
이는 쌍안경 사용자들에게는 최상의 대형 산개성단 중 하나로, 대부분의 망원경 시야에서는 전체 모습을 담지 못한다.
이 성단은 약 800 광연 떨어져 있으며, 성단의 지름은 7.2 광년이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작업중
M-29(NGC-6913):
백조자리에는 메시에 천체 하나 더 있는데, 다른 산개성단인 M-29이다.
이 작은 그룹은 81개의 9등급 및 그 이하의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름은 단지 7'이다.
M-29의 합계 밝기는 6.6등급으로 파인더에서 쉽게 보이지만, 산개성단으로서는 인상적이지 않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작업중
IC 1318 성운. NGC 6910 산개성단:
더 매혹적이지만 관측하기 훨씬 어려운 것은 M-29 지역 주변과 밝은 별 감마(y) Cygni 또는 Sadr를 중심으로 한 복잡한 성운이다.
IC 1318은 젊고 뜨거운 청백색 별들에 의해 밝게 빛나는 방출 성운의 광대한 지역으로,
어두운 성운에 의해 다섯 개의 주요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이 성운의 전체 밝기는 아마도 꽤 높지만, 빛이 넓게 퍼져 있어 작은 부분은 희미하게 보인다.
완전히 어두운 하늘 아래에서 5인치 광각망원경(RFT)으로 이 큰 성운의 희미한 윤곽을 볼 수 있다.
IC 1318 복합체 내, y Cyg의 북동쪽에는 훌륭한 산개성단 NGC-6910이 있다.
이 성단은 지름 8'에 걸쳐 10등급 및 그 이하의 66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합계 밝기 7.4등급이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한국천문연구원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NGC 6888 초승달 성운:
25만 년 전에 형성된 초승달 성운은 게성운(M1)처럼 초신성 잔해물(supernova remnant)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7.4 등급의 울프-레이에 별(Wolf-Rayet star)이 내뿜는 항성풍에 의해 생긴 특이한 성간가스 성운이다. 이 성운의 중심에 있는 울프-레이에 별(HD 192163, WR 136)은 현재도 많은 양의 항성풍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위 그림의 초승달 성운에서 위쪽 밝은 부분에는 밀집성(중성자 별)이 있는데, 울프-레이에 별이 내는 항성풍이 이것에 부딪쳐 X-선을 발생시킨다.
* 울프-레이에 별은 태양보다 20배와 8배 큰 두 별이 서로 근접하여 있는 중량급 근접쌍성계로서,
두 별이 서로 질량을 주고받으면서 진화한다. 이 과정에서 태양에 20배가 되는 질량을 항성풍으로 주변에 방출한다.
울프-레이에 별에 의해 생긴 성운은 카시오페아 자리의 NGC 7635 거품성운, 큰개자리의 NGC 2359가 있다.(설명: 한국천문연구원)
y Cyg 지역의 남서쪽에는 희미한 초신성 잔해 NGC-6888이 포함된 여러 특이한 천체들이 있다.
이는 중심의 뜨거운 Wolf-Rayet 별에서 바깥으로 확장된 이온화된 가스의 젊은 껍질이다.
이는 관측 가능한 초신성 잔해 중 하나로, 투명도가 뛰어난 밤에 관측할 만한 가치가 있다.
표면 밝기는 매우 어두워서 대략 14등급에 해당하며, 매우 투명한 밤이나 큰 광학 장치와 적색 투과 성운 필터가 필요하다.
지름 18' x 12'인 이 성운은 우수한 하늘 아래에서 대형 쌍안경으로 볼 수 있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한국천문연구원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NGC-6871 산개성단:
산개성단 NGC-6871은 백조 은하수의 "도심" 지역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성단의 배경으로 수천 개의 별과 은하수의 별 구름이 가득차 있지만,
NGC-6871는 지름 40', 7등급 및 그 이하의 66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5.2등급의 밝기로 빛나기 때문에 쌍안경으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theskylive.com
북아메리카 성운(NGC-7000), 펠리컨 성운(IC 5067-70):
Deneb(Alpha Cygni) 주변 지역도 독특한 천체가 풍부하다.
가장 많이 찾는 낮은 표면 밝기의 천체 중 하나는 북아메리카 성운(NGC-7000)이다.
이 거대한 방출 지역은 지름이 120' x 100'이며, 어두운 하늘 아래에서는 Deneb 남동쪽에 있는 큰 희미한 빛의 흔적으로 보인다.
NGC-7000의 합계 밝기는 아마도 4.5등급이지만, 너무 커서 망원경으로 보면 작은 부분이 13등급 성운처럼 보인다.
17.5인치 망원경과 성운 필터로 쉽게 윤곽을 볼 수 있지만, 한 시야로 일부분만 볼 수 있다.
다시 한번, 쌍안경이 종종 최고의 관측을 제공한다.
NGC-7000의 서쪽에는 넓은 먼지 띠로 분리된 더 희미한 펠리컨 성운(IC 5067-70)이 있다.
이 성운은 같은 지역의 일부로, 지름이 80'이며, 표면 밝기는 대략 14등급이다.
대형 쌍안경이나 RFTS로 희미하게 보일 수 있지만, 대형 망원경으로는 더 찾기 어렵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작업중
NGC-7027 발광성운:
NGC-7027은 북아메리카 성운 근처에 있는 이상한 천체이다.
원래는 별로 여겨졌으나, 그 후 행성상 성운으로 생각되었고, 현재는 복잡한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기묘한 방출 천체로 보인다.
이 천체의 크기는 18" x 11"에 불과하며, 사진상 등급은 10.4이다.
따라서 낮은 배율에서는 별이 많은 성군에서 쉽게 식별하기 어렵다.
약간의 청록색을 띠므로 중간 배율로 관찰하고, 주변 별들보다 크기가 큰 컬러풀한 '별'을 찾아보라.(설명: Backyard)
NGC-7026, NGC-7048 행성상 성운:
또한 근처에는 두 개의 행성상 성운이 있다.
NGC-7026은 12등급의 천체로 크기는 28" x 13"이고, NGC-7048은 11등급의 천체로 크기는 60" x 50"이다.
NGC-7026은 찾기 어렵지만, NGC-7048은 작은 망원경의 낮은 배율 시야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설명: Backyard)
NGC-6826 깜빡이 행성상성운 Blinking Planetary, NGC-7008 행성상성운:
백조자리에는 또 다른 두 개의 행성상 성운이 있다.
NGC-6826과 NGC-7008이다. NGC-6826은 9등급으로 크기는 27" x 24"이다.
이 천체는 '깜빡이 행성상성운'으로 불리며, 독특한 현상을 보여준다.
이 대상을 보며 주변시를 활용하는 기술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주변시를 이용해 6826을 찾은 후, 시야 중심에 맞추고 직접 바라보면, 성운이 사라지고 11등급의 중심 별만 남는다.
시야 가장자리로 눈을 돌리면 성운이 다시 나타난다. 주변 시야와 직접 시야를 빠르게 번갈아가며 보면 성운이 깜빡이는 것처럼 보인다.
NGC-7008은 크지만 어두운 성운으로, 직경이 1분각 이상이지만 13등급으로 희미하게 빛난다.
10인치인 망원경으로는 큰 흐릿한 빛덩어리로 보이며, 세부 사항은 볼 수 없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허블이미지
베일 성운:
백조자리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거대 성운 복합체는 하늘에서 가장 밝은 초신성 잔해인 베일 성운이다.
이 성운은 네 개 이상의 뚜렷한 밝은 성운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별도의 NGC 번호를 가지고 있다.
베일 성운은 약 30,000년 전, 은하수의 백조팔 방향으로 약 1468 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초신성 폭발의 결과이다.
가장 밝은 부분은 NGC-6992와 NGC-6995로 지정된 동쪽 반쪽으로, 8인치 망원경의 낮은 배율에서도 유령 같은 호로 보인다.
이 부분의 각도 범위는 78' x 8'로, 길고 가느다란 꼬인 첨탑처럼 보이며, 전체 시야를 가로지른다.
서쪽 반쪽인 NGC-6960은 밝은 별 52 Cygni를 통과하기 때문에 찾기 더 쉽지만, 이 별이 성운을 보기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GC-6960은 6인치 망원경에서도 볼 수 있으며, 특히 성운 필터를 사용하면 잘 보인다.
베일 성운의 중앙 부분인 NGC-6979는 두 주요 반쪽보다 훨씬 어둡다.
큰 망원경은 베일 성운 전체에 걸쳐 사진을 연상시키는 날카롭고 복잡한 세부 사항을 보여줄 수 있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서울천문동호회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NASA 자외선 사진
알비레오 이중성.
알비레오로 알려진 베타 Cygni는 하늘에서 가장 많이 관측되는 이중성 중 하나이다.
이 별의 등급은 3.1과 5.1로, 두 별은 34.3" 떨어져 있어 작은 망원경에서도 볼 수 있다.
알비레오를 관측할 때 가장 즐거운 측면은 색 대비이다.
밝은 노란색 주성과 눈부신 부드러운 파란색 반성이 함께 있다.
알비레오는 지구에서 391 광년 떨어져 있으며, 두 별은 4,400 천문 단위, 약 6400억 Km 떨어져 있다.
61 Cygni 이중성.
백조자리에서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이중성은 61 Cygni로, 5.3과 5.9 등급의 별이 28.4" 떨어져 있다.
이 별까지의 거리는 11광년으로, 1838년 F.W. 베셀이 처음 거리를 측정했다.
NGC 6946: 불꽃놀이, fireworks, Pyrobolus Cygni, 이 은하는 초신성 폭발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은하이다.
2010년 초까지 이 지역에서 9개의 초신성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절대적인 기록이다. 결과적으로 '불꽃놀이 은하'라는 이름은 놀랄 일이 아니다.
그리스어 πυροβόλος(purobolos)는 문자 그대로 불을 던지거나 불을 던지는 사람을 의미한다.
(1917년의 초신성은 '성운'의 거리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 당시는 이 성운/초신성이 우리 은하 외부에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지기 전이다.)
(CMG 설명)
매우 가까운 2,260만 광년 거리이다.
사진 참고: 한국천문연구원
M27 (NGC-6853) 아령 성운, 행성상 성운, 작은 여우자리 .
백조자리 옆에 있는 작은 여우(Vulpecula) 또한 희미한 별들 사이에 주목할 만한 망원경 관측 대상을 가지고 있다.
밝고 유명한 행성상 성운인 M-27 (NGC-6853), 즉 여우자리의 아령 성운은 높은 표면밝기의 원반이 모든 망원경에서 쉽게 보이는 아름다운 천체이다.
이 성운의 크기는 480" x 240"이며, 합계 등급은 7.3이다.
쌍안경으로 보면 밝은 별들이 원형으로 모여 있는 안쪽에 위치한 흐릿한 작은 반점으로 보인다.
어두운 하늘 아래에서 6인치 망원경으로 아령 모양과 바깥으로 뻗어 있는 저표면밝기 가스의 '귀'까지도 볼 수 있다.
더 큰 망원경으로는 아령 성운 주위의 광범위한 성운과 13등급의 중심 별, 성운 내부에 떠 있는 여러 별들(나머지는 전경 천체들)을 볼 수 있다.
관측 대상 설명 참고 자료
CMG: A Catalogue of One Thousand Galaxies. 약어 'M'은 로마숫자에서 '천'을 가리킨다.
천 개 은하에 대해 시각적 특징 또는 역사적 의미 등을 고려하여 라틴어 이름을 붙인 목록이다. 2010년 만들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