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시오페이아는 북쪽 은하수의 한가운데에 위치한 별자리로, 우리 은하 성운/성단의 멋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8월 몽골 기준 1시 이후 보기 좋다.
관측 대상
NGC 등급 크기(분) 거리(광년)
***** 나중에 작성 *********
NGC 147: 투명한 은하, transparent, Diaphanes Cassiopeiae.
안드로메다 은하의 작은 타원형 동반자(위성은하)로 별이 성기게 있어 매우 투명하게 보인다.
대조적인 자매 은하인 NGC 185 (CMG20)도 참조하시오.
그 이름은 일반적인 그리스어 단어 (διαφανς, diaphanès)이다. (설명: CMG)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NGC 185: 먼지투성이 은하, dusty, Conisalea Cassiopeiae.
NGC 185와 NGC 147은 안드로메다 은하의 작은 타원형 동반자(위성은하)이다.
자매 은하인 NGC 147 (CMG14)과는 현저한 대조를 보이며, 타원 은하로서는 다소 특이하게 많은 먼지를 포함한듯 짙게 보인다.
따라서 일반적인 그리스어 단어 (κονισαλος, 코니살레오스, female -ea)인 이 이름은 생물학적 명명법에도 사용되었다.
(설명: CMG. CMG 명명법에서는 타원 은하를 여성형으로 생각하여 여성형 어미를 붙였다. 나선 은하는 남성형으로 생각한다.)
사진 참고: The Sky Live
NGC 278: 꽃을 닮은 은하, flower-like, Anthemodes Cassiopeiae.
이 은하의 꽃을 닮은 시각적인 측면에서 영감을 얻어 이름지어졌다. 'νθεμ(δης (anthemòdès)는 일반적인 그리스어 단어이다. (설명: CMG)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NGC 457: 산개성단. 카시오페이아에서 가장 밝은 산개성단으로 변광성 델타(δ) 카시오페이아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2° 떨어져 있다.
이 성단은 최소 8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합계 6.4 등급으로 육안으로는 흐릿한 빛의 작은 조각으로 가까스로 보일 정도이다.
밝은 별들이 독특한 모양을 이루고 있어, 올빼미 성단 또는 ET 성단이라고 불린다.
5등급의 별 파이() 카시오페이아와 7등급의 HD 7902 별이 마치 올빼미의 눈처럼 보이며,
길쭉한 타원 모양으로 늘어진 다른 밝은 별들이 올빼미의 몸통을 이루고,
주위에 흩어져 있는 별들의 곡선은 올빼미의 날개에 해당한다.
참고로, 올빼미의 두 눈에 해당하는 밝은 별은 성단의 구성원이 아닐 것으로 추정된다.
NGC-457의 독특한 모습은 망원경으로 볼 때 매우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준다.
쌍안경으로는 올빼미의 두 눈에 해당하는 밝은 두 별과 몸통 및 날개에 해당하는 흐릿한 빛의 조각이 퍼져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3인치 굴절 망원경의 중배율에서 올빼미의 몸통 부분에서 20여개의 희미한 빛의 조각을 볼 수 있으며,
8인치 망원경으로는 수 개의 별 무리가 흩뿌려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성단의 가장 밝은 구성원인 8.6등급의 별이 선명하게 황갈색을 띠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비록 NGC-457이 메시에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근처에 있는 다른 산개 성단만큼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이 성단을 직접 본다면, 북쪽 하늘에서 가장 훌륭한 성단 중 하나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나무위키
M 103 (NGC 581): 산개성단.
M 103은 델타(δ) 카시오페이아에서 북동쪽으로 1도 떨어진 곳에 있다.
M-103은 NGC-457보다 더 어둡우며 크기는 6'이고 약 25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다.
이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은 NGC-457의 가장 밝은 별보다 약 5배 더 어두운 10.6 등급이다.
M-103이 올빼미 성단만큼 크거나 밝지는 않지만, M 103은 인상적인 별 무리이다.
4인치 망원경으로 부채꼴 모양의 그룹을 볼 수 있으며. 더 큰 망원경은 성단과 주변의 무수한 희미한 별들을 보여준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Trumpler 1: 산개성단.
델타 카시오페이아에서 M-103까지 선을 있고, 그 선을 더 연장하면 트럼플러 1 산개성단이 있다.
이 성단은 성단을 꼼꼼히 연구한 20세기 미국 천문학자 로버트 트럼플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트럼플러 1은 9.6등급 이하의 20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4.5' 크기이다.
성단의 합계 등급은 8.1로 어둡지만 쌍안경으로 볼 수 있다.
투명도가 좋다면 소형 망원경으로 별들의 밀도가 은하수보다 증가한 것처럼 보이는 희미한 별들의 뿌려짐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스케치 참조: 별바라기
NGC 7789: 산개성단, 캐롤라인의 장미 또는 백장미.
허셜의 여동생인 캐롤라인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다수의 작은 암흑대와 함께 보이는 성단의 모습이 마치 위에서 본 장미 꽃잎의 소용돌이 무늬처럼 보인다.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가장 인상적인 성단 중 하나로 W의 가장 서쪽 별인 베타 카시오페이아에서 남서쪽으로 3° 떨어진 곳에 있다.
5등급과 6등급 별 로(Rho)와 시그마(o) 카시오페이아 중간에 있다. 두 별 사이를 훑어가면 찾을 수 있다.
하늘에서 가장 별이 많은 산개 성단 중 하나인 NGC-7789는 최소 300개의 10.7등급의 별들과 보름달 크기의 절반 영역에서 희미한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
망원경으로 볼 때 NGG-7789는 특별하다. 쌍안경으로는 균일한 밝기의 연무의 회색 구름으로 보이며,
6인치 망원경으로는 수십 개의 희미한 별들을 덮고 있는 10' 크기의 엷은 구름처럼 보인다.
12~18인치 범위의 큰 망원경으로는 원반모양의 엷은 성운과 100개 이상이 별이 성긴 구상 성단처럼 보인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NGC 103: 산개성단.
NGC-103은 카시오페이아 베타에서 북동쪽으로 약 3° 떨어져 있다. 이 30개의 별 무리는 5' 크기로 합계 등급 9.8이다.
NGC-103은 어두운 별로 이루어져 있어 쌍안경으로 보면 인상적이지 않다.
하지만 6인치 반사 망원경으로 보면, 이 그룹은 12등급과 13등급의 여러 별들로 흩어져 있는 안개 낀 구름처럼 보인다.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NGC 129: 산개성단.
NGC-103에서 남남동쪽으로 1.5도 떨어진 곳에는 더 인상적인 성단인 NGC-129가 있다.
반짝이는 약 35개의 밝은 별들은 NGC-103과 달리 멋진 모습을 보여준다.
NGC-129의 크기는 21'이고 합계 등급은 6.5로, 어떤 망원경으로 보아도 아름다운 광경을 선사한다.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IC 1805 하트 성운. Sh2-199 소울(영혼) 성운.
카시오페이아 남동쪽 모퉁이, 페르세우스 이중 성단에서 약 4° 북쪽에 두 개의 큰 성운/성단이 있다.
바로 하트 & 소울 성운이다.
아래쪽 참고 사진을 클릭해보면 이들의 멋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소울 성운은 태아 성운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웬만한 망원경으로는 이들 성운을 볼 수는 없다.
대신, 이들 성운이 품고 있는 산개 성단을 볼 수 있다.
하트 성운은 22'에 걸쳐 퍼져 있는 40개의 밝은 별들로 이루어진 산개성단 Melotte 15를 품고 있다.
이 성단의 가장 밝은 별은 8등급으로 빛나며, 쌍안경으로 관측하기에 좋은 대상이다. (설명: 위키피디아, Backyard)
소울 성운이 품고 있는 성단은 IC 1848로 지칭하며 Mellotte 15와 같은 등급을 가지지만 별의 수가 적고 크기도 절반에 불과하다.
사진 참고: NASA 오늘의 천체사진 NASA 적외선 사진 NASA 적외선 사진의 아래쪽에 마페이 1, 2 은하도 찾아보자. (오늘의 천체사진에도 보이긴 하지만, 적외선 사진만큼 선명하지 않다)
마페이 은하군에 속한 은하로 우리 은하에서 1000 ~ 1500만 광년 거리이이다. 우리에게 매우 가까이 있는 이웃이다.
M-52 (NGC-7654): 산개성단.
별자리의 서쪽 끝에는 M-52가 위치해 있다.
7등급의 성단은 100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NGC-457과 NGC-7789와 더불어, M-52는 북부 은하수에서 가장 멋진 성단 중 하나이다.
별들은 8.2등급과 그 이하로 빛나며 13'의 크기이다.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수십 개의 밝고 풍부한 별들의 덩어리로 보인다. (설명: Backyard)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NGC-7635: 거품 성운.
M-52에서 남서쪽으로 1° 떨어진 곳에는 특이한 방출 성운인 거품 성운이 있다.
크기는 15' x 8'이며 매우 희미한 방출 성운이다. 이 성운의 가장 밝은 부분은 둥근 거품 모양이어서 별명이 붙었다.
8인치 망원경을 가진 관측자라며 매우 어두운 밤에 거품 성운의 흔적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몽골에서 보일까? 시도해보자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NGC 281: 팩맨 성운.
알파(α) 카시오페이아 별에서 동쪽으로 약 2.5° 떨어진 곳에 또 다른 희미한 방출 성운이 있다.
NGC-281은 낮은 표면 밝기의 성운이어서, 10인치 또는 12인치 망원경에서 저배율로 관측하는 것이 유리하다.
성운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사진 참고: 위키피디아 한국천문연구원
IC 59, IC 63.
감마(γ) 카시오페이아 별 주위에는 좀 더 어우운 성운 IC 59와 IC 63이 있다.
둘 다 표면 밝기가 매우 어둡다. 더욱이 3등급의 감마 카시오페이아는 성운과 한 시야에 보이기때문에 관측에 방해가 된다.
큰 구경의 망원경, 좋은 성운 필터, 그리고 밝은 별을 차단하는 소형 가림막을 접안경 위에 놓는 방법을 시도해 보라.
사진 참고: galactic-hunter.com
관측 대상 설명 참고 자료
CMG: A Catalogue of One Thousand Galaxies. 약어 'M'은 로마숫자에서 '천'을 가리킨다.
천 개 은하에 대해 시각적 특징 또는 역사적 의미 등을 고려하여 라틴어 이름을 붙인 목록이다. 2010년 만들어짐.
대부분 은하의 사진과 함께 보면 이름이 이해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