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바라기 홈 >
재미있는 별바라기
전리수소영역 발광 성운 H II Region
아래 사진에 보이는 아름다운 우주 구름은 전리수소영역이라고 불리는 발광 성운이다.
- 전리수소는 이온화된 수소라는 뜻이며, 이들에 의해 붉은색으로 표출된다.
- 전리수소영역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생긴 모양에 어울리는 이름이 붙여지는 경우가 많다.
예, 장미, 삼렬, 오메가, 타란툴라, 북아메리카, 펠리칸, 우주 절벽 등.
- 별자리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오리온 성운, 용골 성운.
아기별을 품고 있는 우주 구름
전리수소영역은 아기별이 막 태어났다는 것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 분자 구름의 밀도가 높은 곳에서 아기별이 태어난다.
- 아기별의 항성풍이 구름을 밀어 내며 거품(Bubble)을 만들고,
자외선 항성풍이 수소 원자를 이온화 시켜 붉은색의 전리수소영역이 형성된다.
- 항성풍 및 주변 상황에 따라 여러 모양으로 변화한다. 맨 위의 사진들 참조.
- 좀 더 시간이 흐르면, 신생 별들은 산개 성단으로 남게 되며,
분자 구름은 대부분 흩어지고 남아 있는 성운은 성단의 별 빛을 반사하는 반사 성운으로 우리에게 보여진다.
예, 플레이아데스 성단/성운. 이때의 성운은 파란색이다.
전리수소영역의 분포
- 우리은하를 비롯한 나선 은하에서는 나선팔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 아래 왼쪽 사진은 지구 주변의 은하 모습으로 붉은색은 전리수소영역을 나타낸다.
- 오른쪽 사진은 삼각형 은하에 있는 거대 전리수소영역인 NGC 604를 나타낸다.
대마젤란 은하의 타란툴라 성운도 거대 전리수소영역의 하나이다.
용어 설명
천문학에서 성운이나 성간 물질의 구성 성분을 구분할 때, 로마 숫자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 I: 중성 원소를 나타낸다. H I = 중성수소 원자, O I = 중성산소 원자.
- II: 전자 하나를 잃어 버려 이온화된 상태. H II = 이온화된 수소 = H+.
- III: 전자 두 개를 잃은 상태. O III = O2+는
산소 원자가 아주 뜨거운 빛이나 충격파 같은 에너지를 받아 이온화된 상태로 주로 초록색이나 청록색 빛을 내뿜는다.
행성상 성운의 중심부에서 많이 관측된다.
Image Credit
별바라기 홈 > 재미있는 별바라기
최종 변경: 2025년 5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