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은 시시각각 모습이 변한다. 우리가 느끼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구의 자전이다. 하늘 전체가 동에서 서로 1시간에 약 15도 이동한다. 또한, 태양계 대상들은 각 대상들의 고유 운동에 따라 위치가 변경 된다. 예를 들어, 달의 경우 서에서 동으로 하루 약 12도 이동하고, 샛별(금성)의 경우 일정한 주기로 태양의 주위를 맴돈다. 그리고, 관측지에 따라서 관측 가능 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남반구의 별자리와 남반구에서 일어나는 일식은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가 없다. 따라서, 날짜/시간 및 관측지의 확인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성도의 날짜/시간은 화면의 왼쪽 아래쪽에 있는 정보바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별바라기 지평좌표계 성도에서는 시간대에는 따라 배경색이 바뀐다. 낮 시간대에는 엷은 파랑색 배경이며, 일몰부터 천문박명 (태양 고도 0~-18도) 사이에는 점차 어두운 색으로 변벼하며, 천문박명 이후에는 배경색이 까만색으로 바뀌고 은하수도 나타난다.
[입력] [날짜/시간....]메뉴를 선택하면 옆과 같은 윈도가 열리면서 시간을 바꿀 수 있다. (**2020버전으로 바꿔야 함)
단축키를 이용하여 날짜/시간을 변경할 수 있으며, 부록. 단축키를 참조하시오. 예를 들어, m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하늘이 1분 단위로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입력] [관측지]메뉴를 선택하면 그림 3과 같은 윈도가 열리면서 관측지를 변경할 수 있다. 태양계 대상 - 태양, 달, 행성, 혜성, 소행성, 인공위성의 위치는 시간 및 관측지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시간 및 관측지의 설정을 정확하게 해야 한다.
관측지를 추가/수정하려면' Data/location.dat' 파일을 수정합니다.
노트패드 등의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여 이 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보일 것입니다.
21 // 관측지 자료 개수
9 126 59 0.0 37 34 0.0 100.0 서울(시청)
9 127 22 0.0 36 24 0.0 100.0 대덕전파천문대
.........
맨 첫 줄에 있는 것은 자료의 개수입니다.
자료를 추가하려면 현재 있는 숫자에 1을 더한 값으로 바꾸십시오.
다음 줄부터는 한 줄에 하나의 관측지 자료가 있습니다.
맨 첫 열(컬럼)은 시간대를 나타냅니다. 한국은 '9'로 하면 됩니다.
다음 세 열은 경도를 나타냅니다. 각각 도 분 초 단위입니다.
다음 세 열은 위도를 나타냅니다. 각각 도 분 초 단위입니다.
도, 분은 반드시 정수로 적어 주십시오.
다음 열은 해발고도를 나타내며 단위는 미터(m)입니다.
맨 끝 열은 목록에 보여질 이름입니다.
파일을 저장하고 관측지 윈도를 새로 오픈하면 관측지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별바라기 홈 최종 변경: 2020년 05월 31일